한국 합동참모본부는 “15일 오후 8시 50분께 북한이 우주발사체라고 주장한 천리마1형의 일부를 인양했다”고 16일 밝혔습니다.
합참은 “인양된 물체는 추후 국방과학연구소 등 전문기관에서 정밀 분석할 예정”이라며 “군은 추가 잔해물 탐색을 위한 작전을 지속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인양한 잔해는 아래에서 위로 갈수록 좁아지는 원통형으로, 3단 로켓인 천리마 1형의 2단부로 추정됩니다.
크기는 직경 2.5m, 길이 12m입니다.
잔해 표면에는 ‘천마’라는 글자와 함께 하늘을 나는 말의 모습을 형상화한 마크가 찍혀 있습니다.
합참은 또 앞서 지난 5일엔 서해상에서 추진체 잔해물 일부로 추정되는 직경 2∼3m ‘훌라후프 모양’ 고리도 인양했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북한이 천리마 1형에 탑재했다고 주장한 군사정찰위성 ‘만리경 1호’와 1단, 3단부는 아직 찾지 못했습니다.
앞서 북한은 지난달 31일 평안북도 동창리에서 군사정찰위성을 탑재한 발사체 천리마 1형을 쏘아 올렸지만, 이 발사체는 1단 분리 후 2단 점화에 실패해 한국의 군산 어청도 서방 200여㎞ 해상에 추락했습니다.
한국 군은 북한이 발사체를 쏜 지 약 1시간 30분 만에 낙하 해상에서 천리마 1형의 잔해로 추정되는 부유물을 발견하고 가라앉지 않도록 노란색 리프트 백을 묶어뒀지만 인양을 시도하는 과정에서 잔해가 무거운 중량 때문에 인양 장구에서 이탈해 수심 75m 해저에 가라앉았습니다.
한국 군은 이후 3천500t급 수상함구조함 통영함과 광양함, 3천200t급 잠수함구조함인 청해진함, 전투함 등 해군 함정 10여척과 항공기, 해군 해난구조전대 심해잠수사 수십명을 투입해 인양 작전을 펼친 끝에 15일만에 인양에 성공한 겁니다.
한국 군은 잔해를 평택 2함대사령부로 이송했고 천리마 1형의 전반적인 성능과 외국 부품 사용 여부, 기술 수준 등을 확인할 예정입니다.
미한은 이달 초 싱가포르에서 열린 제20차 아시아안보회의에서 천리마 1형의 잔해를 공동 조사하기로 했습니다.
인양된 2단부 동체 상태는 양호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합참이 공개한 사진에 따르면 빨강과 노란색 로프로 감긴 부분에 연료통과 산화제통이 들어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아울러 동체 끝 체크무늬가 있는 부분 속에는 엔진 노즐 등이 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민간 연구기관인 한국국가전략연구원 장영근 미사일센터장은 “인양된 천리마-1형 발사체 잔해물은 엔진과 노즐, 연료탱크, 산화제 탱크가 포함된 2단 추진체와 1단과 2단을 연결한 인터스테이지로 보인다”고 분석했습니다.
전문가들은 1단부 엔진이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15형’ 또는 ‘화성-17형’과 동일한 것으로 추정하고 2단 엔진은 새로 개발한 신형일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잔해를 정밀분석하면 로켓 추력과 비행거리 등을 계산할 수 있을 거라는 겁니다.